
웹사이트를 만들어 홍보에 이용하려 합니다.
웹사이트는 웹호스팅과 자체 서버를 운영하여 만들수 있습니다.
웹호스팅의 장점은 업체가 보안과 유지보수를 해주며 설치도 간편합니다.
하지만 비용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체 서버를 운영하는 것은 기존의 pc에 서버를 설치해서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항상 컴퓨터를 켜두고 모든것을 자신의 관리해야 하지만 트래픽, 용량, 속도등 추가비용이 없습니다.
여기서는 wordpress 설치를 완료했고 사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다룹니다.
로고제작은 글의 가장 하단에 있습니다.
- 고유주소를 설정합니다

- 사이트 제목과 부제목(태그라인)을 설정합니다.

- 페이지 만들고 홈으로 설정


- 테마와 플러그인 설치
자유도가 높은 테마(추천 oceanWP)를 설치, 활성화 합니다.

테마와 함께 쓸 플러그인을 설치, 활성화 합니다.

- 페이지 정리하기(oceanWP설정이용)
페이지의 body와 footer를 제거합니다. 이는 elementor 페이지 빌더로 나중에 만들게 됩니다.
헤더는 무료버전에서 편집에 제약이 있어서 oceanWP 테마로 편집을 합니다.
페이지 탭의 home 페이지를 body와 footer를 제거하는 작업을 해 보겠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서비스, 소개, 연락처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단, 고유주소는 영문으로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Elementor 페이지 빌더로 편집하기
생성한 페이지에 들어가보면 편집하기 버튼이 있습니다.
이를 선택하면 Elementor 페이지 빌더로 넘어가게 됩니다.




- 한글폰트 변경
Rocket Font 플러그인을 사용합니다.



엘리멘터의 기본글꼴은 Rocket Font의 기본 폰트로 대체 됩니다.
나중에 변경을 하시려면 여기서 한번에 가능합니다.
- Footer 달기


- 메뉴달기


- 헤더수정하기(로고달기, 메뉴폰트와 색상)





- 파비콘 설정
파비콘은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설정합니다.


- 무료로고 제작 사이트 추천 https://hatchful.shopify.com/
Hatchful | Your digital logo designer
Create stunning logos in seconds - no design skills required!
hatchful.shopify.com
'IT > 서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 ip 자동 연결 무료 dns 서비스 duckdns.org (0) | 2021.01.03 |
---|---|
iis 계정 만들기(ftp, webdav, git) (0) | 2020.11.16 |
webdav 운영하기 윈도우용 apache webdav (0) | 2020.10.29 |
개인 미디어서버 PLEX 운영하기, PLEX 라이브러리 관리 (0) | 2020.10.27 |
사이트에 무료 https 적용하기, 인증서만들기 (0) | 2020.10.27 |